성경속의 인물 226

잇대

뜻 : 짝하다 [1] 블레셋인 잇대. 가드로 부터 포로 6백명을 거느리고 이스라엘에 온 블레셋 인으로 후에 다윗에게 충성하였다(삼하5:18-이름이 누락되어 있다). 그는 압살롬 토벌 제 3분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삼하 18:2). [2] 다윗의 한 용사(삼하23:29, 대하11:31). 사무엘하 18장 이하를 읽어보면, 블레셋족속 출신 장관 잇대가 나온다. 그는 가드지역에서 6백명이나 되는 부하들을 데리고 다윗에게 투항했다. 적대관계였던 역사적인 현실을 뒤로 한 채 잇대는 다윗에게 나왔고 다윗도 그를 받아들였다. 여기서 하나님은 우리들에게 한가지 교훈을 주신다. 적대관계로 형성된 고정관념까지라도 깨트려야 하는 막중한 사명이 우리 신앙인에게 있음을 깨닫는다. 원수관계인 블레셋 사람을, 그것도 군대장관급으..

성경속의 인물 2023.03.24

데마

데마는 세상을 사랑하여 데살로니가로 갔다. ◀ 그리스 북부 델마이코스만에 면하여 있는 옛 마게도니아의 수도였던 데살로니가. 데마가 세상을 사랑하여 되돌아 간 곳이기도 하다. 데마, 그의 이름은 ‘다스리는 자’란 뜻이다. 데마가 어디 출신인지 분명하지 않다. 그리고 언제 어디서 바울을 알게 되었는지도 정확하지 않다. 그렇지만 바울은 빌레몬서에서 ‘나의 동역자’라고 소개하고 있고(몬 24), 골로새서에서는 ‘사랑을 받는 의원 누가와 또 데마”(골 4:14)로 소개하는 것으로 보아 데마는 바울의 사랑을 받는 동역자였음을 알 수 있다. 바울이 디모데에게 편지를 할 때는 로마에 투옥되었을 때이다. 바울이 로마에 투옥될 때 데마도 거기 바울과 함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던 데마가 바울을 버리고 이 세상을 사랑..

성경속의 인물 2023.03.19

아사

아사 ― 종교 개혁을 단행한 제3대 유다 왕 1. 인적 사항 ① 아사는 ‘치료라는 뜻. ② 남유다 제3대 왕으로 41년간 통치(왕상15:9). ③ 그리스도의 조상(마1:7). ④ 르호보암의 손자. 아비얌과 마아가 사이의 아들(왕상15:8,10). ⑤아들 여호사밧이 왕위를 계승함(15:14). 2. 시대적 배경 이스라엘 왕국 분열 이후 계속되어 오던 남북 간의 전쟁이 북왕국 여로보암 왕에 대한 남왕국 2대 왕 아비야 승리로 일단 중단되고, 남북간의 어느 정도 정치적 평화를 누리고 있던 때였다. 이러한 때에 아사 왕은 선한 통치로 남왕국 최초로 종교 개혁을 실시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더욱이 B.C.901년 구스 사람 세라의 대규모 공격이 있었으나 그것을 훌륭히 막아냄으로써 가일층 종교 개혁에 더욱 박차를..

성경속의 인물 2023.03.15

요압

1. 요압의 인적사항 ① 요압은 ‘여호와는 아버지심’이라는 뜻. ② 다윗의 이복 누이 스루야의 맏아들(삼하 2:18).. ③ 형제로는 아비새와 아사헬이 있음(대상2:16). ④ 다윗 왕의 군대 장관(삼하8:16; 대상11:6). 2. 시대적 배경 요압은 대략 B.C.1010-970년 경으로서 다윗의 도피 시기로부터 솔로몬의 즉위에 이르기까지 활동하였으며, 요압은 다윗 왕정의 수립부터 솔로몬 왕정의 이르기까지 이스라엘의 군대를 지휘하던 군대 장관으로서 다윗의 최측근 심복으로 이스라엘 역사상 가장 많은 전쟁을 치렀던 시기의 위대한 장군이었다. 그러나 그는 권력에의 지나친 집착과 과잉충성으로 인하하여 사울왕의 군대장관 아브넬을 살해하였고(삼하3장), 다윗의 아들 압살롬이 반역하여 도망갈때에 압살롬을 살해하였고..

성경속의 인물 2023.03.12

마르다와 마리아

1.이름의 뜻과 가족 마르다는 ‘숙녀, 여주인’이라는 의미이며 마리아는 ‘고통, 슬픔’이라는 의미이다. 마르다와 마리아, 그리고 나사로는 한 가족으로 감람산 동쪽 약2킬로에 있는 베다니에서 함께 살았다. 특별히 예수님께서 사랑하는 남매들이었다.(요11:3,5) 어떤 주석은 마르다 남매를 베다니에 사는 문둥이 시몬의 자녀들, 혹은 가까운 친척으로 본다.(마26:6,막14:3) 요한복음12:1~8에서 예수님께서 베다니에 계실때에 예수님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나사로와 예수님을 위하여 잔치하는 마르다가 있었으며, 마리아는 지극히 비싼 향유를 예수님의 발에 부었다. 2.예수님을 영접한 마르다와 예수님의 발앞에 앉아있는 마리아(눅10:38~42) 1)예수님을 대접하는 마르다 ①‘영접하더라’(38): 마르다는..

성경속의 인물 2023.03.08

가말리엘

신약전서에 나오는, 유대 율법을 잘 알고 있었고 또 가르쳤던 유명한 바리새인. 사도 바울은 그의 학생 가운데 하나였다(행 22:3). 그는 산헤드린에서 매우 영향력이 있었다(행 5:34~40).사도 바울의 스승, 인적 사항 가말리엘,이라는 이름은 "하나님의 상급"이란 뜻이다. 통상 랍반 가말리엘 1세를 가리키는 말이다. 대랍비 힐렐의 손자며 시몬의 아들이다. 바리세파의 유명한 율법학자이며, 산해드린 공회원이고 헤롯대와의 종교문제 조언자이기도 함, 사도바울의 스승(행22장3절), 시대적 배경 사도시대에 예루살렘에서 유대교를 지도한 대학자로서 대략A.D.25-50년 경에 활약하였다고 기록됨, 특히 율법해석에 엄격한 샴마이 학파와는 달리 율법해석에 온건한 입장을 취한 힐렐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안식일이나 이..

성경속의 인물 2023.03.05

에디오피아 여왕 간다게의 고위 관료 내시

에디오피아 고위 관료인 내시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그의 기록이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에게 전달하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목차 1. 에디오피아 내시와 선지자 빌립의 만남 2. 에디오피아 내시의 한마디 에디오피아 내시와 선지자 빌립의 만남 주님의 천사가 빌립에게 말했습니다. “일어나 예루살렘에서 가사로 내려가는 남쪽 길로 가거라. 그 길은 광야 길이다.” 빌립이 일어나 가다가 길에서 에티오피아 사람 하나를 만났습니다. 그는 에티오피아의 여왕 간다게의 높은 관리로서, 여왕의 재정을 맡은 사람이었는데, 내시였습니다. 그는 예루살렘에 예배드리러 왔다가 본국으로 돌아가는 길이었습니다. (쉬운성경 사도행전 8:26~28) 성경은 한 인물을 소개한다. 바로 에디오피아 여왕의 모든 재정을 맡고 있던 높..

성경속의 인물 2023.01.04

사도 맛디아

마지막 사도 맛디아의 영성생활 서 론 마지막 사도 맛디아는 '하나님의 주신 자(선물)'이란 뜻으로 초대 예수의 단체에 가입한 사람으로 예수의 교훈과 사적에 대하여 증거할 수 있을만한 자로 인정되어 가롯 유다의 후임으로 선정되었다(행 1:23, 26). 1. 사도 맛디아의 배경 맛디아라는 이름의 뜻은 '하나님의 선물'이다. 이 이름은 예수님의 원제자 마태와 같은 이름이다. 맛디아는 예수님으로부터 직접 부름받은 12 제자는 아니었지만 70문도 중 하나로 예수의 단체에 가입한 사람으로 예수의 교훈과 사적에 대하여 증거할 수 있을 만 한 자로 인정되어 가롯유다의 후임으로 선정되었다. 이제 사도는 예수님을 친견한 12명의 범위를 벗어나 주님을 믿는 믿음 안에서 제자로 부름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의 뒤를 따라가..

성경속의 인물 2022.11.29

예수님의 제자 유다 다대오

유다 타대오(Θαδδαῖος, ? - 62년)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르심을 받은 열두 제자 즉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사도 가운데 한 사람이다.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에는 ‘다대오’로, 누가복음(6:16)과 사도행전(1:13)에는 유다로 기록돼 있다. 유다는 ‘존경받는’ 또는 ‘찬미하리’라는 뜻이며, 타대오는 ‘마음이 크고 넓다’는 뜻이다. 소(小)야고보와는 형제 관계이며, 이스카리옷 유다와는 다른 사람이다. 누가 복음서와 사도행전에서는 그를 유다라고 부르고 있지만(누가 6,16; 사도 1,13), 마태오 복음서와 요한 복음서에서는 그를 타대오라고 부른다. 신약성서에서는 그에 관한 언급은 유일하게 사도들의 이름을 나열할 때 뿐인데, 총 4번밖에 나오지 않는다. 최후의 만찬 당시 유다 타대오는 예수를 향해 “주님..

성경속의 인물 2022.11.09

예수님의 제자 시몬 베드로

● 시몬 베드로는 갈릴리 바다 북쪽 가버나움 근처 벳새다 출신 어부로, ‘요한’(요나라고도 불림)의 아들이며 안드레의 형이다. ‘베드로’라는 이름은 시몬이 예수님으로부터 받은 이름으로 히브리말로 ‘바위, 반석’을 의미하며, 아람어로 ‘게바’라고도 불렀다. 본명 시몬은 ‘하나님께서 들으신다’는 뜻이다. 예수님의 수제자가 되었으며, 바울은 그를 ‘초대 교회의 기둥’ 또는 ‘할례자(유대인)의 사도’라고 불렀다. 그는 기혼자로 전도 여행에 아내를 데리고 다녔다. 베드로는 신약시대 위대한 사도의 한 사람으로서 성경에 그 이름이 160회 이상이나 기록되어 있다. 12사도의 명단에 네 번 나오는데 다른 사도들의 순서는 각각 다르게 기록되어 있으나 베드로가 수위를, 그리고 가룟 유다가 말석을 차지하는 것만은 변함이 없..

성경속의 인물 2022.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