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선교운동과 내한 선교사들 3] 근대사회 형성 동기·요인·힘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KOREA MISSION』(METHODIST EPISCOPAL CHURCH, 1910)에 수록된 1910년대 선혜창 장시로 추정되는 서울의 시장 풍경이다. ⓒ서울역사박물관1884년 9월 알렌 의사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선교사들은 한국 사회와 역사, 근대문화, 교육, 의료, 예술, 체육 등 각 분야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위대한 선교사학자 구스타프 베르넥(Gustav Warneck, 1834-1910)은 “서양 선교사들이 본인의 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