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송가 전곡, 해설 232

10장 전능왕 오셔서

찬송묵상 : 전능왕 오셔서 우리를 다스려 주옵소서. 찬송가 해설 : 각 위(位) 하나님을 각 구속 사역과 적절하게 연결시킨 경배찬송으로 1757년에 만들어졌으나 작사자 미상으로 되어 있다. 찬송 곡명 ‘이탈리아 찬송(ITALIAN HYMN)’은 이탈리아 사람으로서 이탈리아의 유명한 오페라단에서 바이올리니스트로 명성을 떨친 펠릭스 데 자아르다니(F. de Giardini; 1716~1796)가 작곡하여 이탈리아에 있는 록병원(Lock Hospital) 예배에 사용하려고 만든 ‘시와 찬미 곡조찬송가’에 처음 발표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9장 하늘에 가득 찬 영광의 하나님

해설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니라」 요 4: 24 작시 : 김정준(1914-1981). 목사. 신학대학 교수. 그는 한국 신학대학 학장을 두 번 역임하엿다. 여러 번역서들과 저서를 낸 그는 한때 결핵으로 고생을 하였으나 이를 믿음으로 이겨내었다. 이러한 신앙적 체험이 그로 하여금 ‘사랑이 넘치는 자비하신 하나님, 은혜가 풍성한 하나님’을 찬송케 했을 것이다. 작곡 : 곽상수(1923). 저명한 오르가니스트. 충북 청주 태생으로 서울대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유학하였다. 연세대 종교음악과 과장을 역임했다. 본 찬송곡은 김정준 박사가 지은 시에 1967년 개편 찬송가 편찬시 당시 음악위원이었던 곽상수 교수가 곡을 붙인 것으로 하나님께 호소하는 성도의 간구를 음악적으로 잘 표출해 내고 있다. 한국신학대학 학장을 역..

8장 거룩 거룩 거룩 전능하신 주님

Holy, Holy, Holy, Lord God Almight!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여」 계 4:8 작사 : 레지날드 히버(1783-1826). 영국의 목사. 위트터치의 문법학교에서 시작을 배운 그는 42세에 심장마비로 갑자기 죽을 때까지 인도 캘커타 지역의 국교회 감독을 역임하는 등 여러 곳에서 사역을 담당하였다. 그는 추앙받는 인물이었으나 교만하지 않고 ‘면류관을 주께 빗어드리는’ (2절) 삶을 살았다. 작곡 : 존 바커스 다이크스(1823-1876). 영국의 목사. 작곡가 /이 곡은 부활절 후 여덟 번째 주일인 성삼위 주일을 위해서 지었다. 이 찬송 중에는 1절과 4절의 끝부분에 삼위일체 교리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니케아회의(325년)의 명칭을 따서 곡명으로 붙였다 ..

7장 성부 성자 성령

이 찬송은 2세기경부터 형성된 라틴 가사로 된 글로리아 파트리(Gloria Patri 소송영)이며 작사자는 미상이다. 가사 구성은 삼위일체되신 하나님, 주님께 영광, 그리고 ‘태초부터 지금까지 또 영원토록’하는 주님의 영원성과 아멘이다. 누가복음 2: 14 ‘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나님께 영광이요’를 근거로 한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내용의 찬송을 소송영(Lesser Doxology) 또는 송영이라 일컫는다. 일부 잘못 알려진 대로 송영은 성가대가 부르는 기도송, 폐회송과 같은 예배 순서에 있어서의 보조적인 음악이 아니다. 마그니피커트를 부른 후, 설교 후, 시편 낭독 후 회중이나 성가대가 소송영을 부른다. 우리 찬송가에 송영이 몇 개 있지만 오랫동안 불렸으므로 새로운 송영이 필요해 선곡되었다. 곡명은 B..

6장 목소리 높여서

(I. Watts 작사 ・ The Parish Choir) 《개편 찬송가, 1967》585장에 처음 채택된 이 찬송은,「영국 찬송가의 아버지」라 칭송 받는 아이자크 왓츠(Issac Watts, 1674-1748) 목사가 작사한 찬송으로서 예수님 찬양이다. 왓츠 목사는 유일신 찬양의 구약성경의 시편을 신약적으로 재해석하여 그리스도와 삼위일체 찬양으로 작사, 6천 편 이상의 찬송을 출판하였다. 아이자크 왓츠(Issac Watts, 1674-1748) 목사는 영국 사우샘프턴(Southampton)의 비국교도 집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몸은 허약했으나 천재인 그는, 다섯 살에 라틴어를, 아홉 살에 그리스어를, 열한 살에 프랑스어를, 열세 살에 히브리어를 배워 5개 국어에 통달하였다. 그의 학구열은 불타..

새찬송가 5장 이 천지간 만물들아

한국 최초의 장감 양교단의 합동찬송가인《찬숑가, 1908》3장에 처음 채택된 이 찬송은, 윌리엄 케스(William Kethe, ? ~1594) 목사가 작사한 5절 찬송 중 첫 절이다. 1908년부터 오늘까지 온 교회가「3장 찬송」이라 부르던 송영으로서 모든 만물에게 찬양하라 호소한다.《침례교 찬송가, 1985》6장에는 4절까지만 실려 있고, 5절까지 다 실린 찬송도 있다. 그의 찬송 전문을 보자. 1. All people that on earth do dwell, 이 천지간 만물들아 Sing to the Lord with cheerful voice. 복 주시는 주 여호와 Him serve with mirth, His praise forth tell; 전능 성부 성자 성령 Come ye before hi..

찬송가 4장 성부 성자와 성령

"그에게 영광과 능력이 세세토록 있기를 원하노라 아멘" 계시록 1장 6절 작사 작곡 : 작시자 미상. /크리슽프 마이네케(1782-1850). 독일 올덴부르크에서 출생. 영국을 거쳐 미국으로 건너갔다. 피아노와오르간의 명연주자이기도 했던 그는 바로 앞의 2장을 작곡했으며, 뛰어난 음악성을 바탕으로 한 많은 시편 송영곡과 속요곡을 남겨 놓았다. "모든 열방들아 주를 찬양하며 모든 백성들아 저를 찬송하라"(롬 15:11)는 말씀을 배경으로 영원토록 하나님을 찬양할 것을 권하는 노래이다. 성삼위 하나님만이 태초에나 지금이나 영원토록 끝없이 영광을 받으실 참 신이시다. 그런데 인간들은 어리석게도 썩지 않는 하나님의 영광을 썩을 피조물들과 바꾸어 경배하며 섬기고 있다. 우리는 찬송을 통해서도 참 하나님만이 영광을..

3장/ 성부 성자와 성령

(2세기 전래 가사 · C. Meineke 작곡) ; 《통일 찬송가, 1983》3장 감리교단의 《신정 찬송가, 1931》312장에 처음 실려 우리나라에 알려진 이 송영은 주후 1세기 초대교회부터 전해오는「아버지께 영광」이란 뜻의 헬라어「글로리아 파트리」'Gloria Patri' 라는 송영이 발전한 삼위일체 찬양이다. 「소송영(小頌詠)」이라고도 한다. ♬.소송영(小頌詠) - Gloria Patri - 「글로리아 파트리」는 소송영, 혹은「소영창(小榮唱)」이라고 하는데, 헬라어로「아버지께 영광」이란 뜻이다. 로마 경기장에서 사자에게 찢겨 죽어간 순교자들이 최후의 찬양으로 이 찬송을 주로 불렀고, 사도 요한의 제자로서 초대교회의 사도 교부(使徒 敎父, Apostolic Father)인 폴리갑(St. Polyca..

찬양 성부 성자 성령

2장/ 찬양 성부 성자 성령 (Tate and Brady 작사 · T. Hastings 작곡) ; 《통일 찬송가, 1983》6장 이 찬송은 성결교회의《신증 복음가, 1919》245장에 처음으로 번역 채택된 송영으로서, 작사 작곡자 이름을 표기 안 해 오다가《합동 찬송가, 1949》583장에서 작곡자만 찾아내어 토머스 헤이스팅스(Thomas Hastings) 작곡의「오톤빌」'ORTONVILLE' 이라고 기록하고 작사자는 공란으로 남겨 놓았다. 《새찬송가, 1962》,《개편 찬송가, 1967》모두 채택을 안 했으나,《통일 찬송가, 1983》6장에 채택할 때 작사자 모름(Anonymous)이라고 했는데, 언더우드 선교사 편집, 말씀사 간행의《한영 찬송가, 1990》에서 작사자를 17세기 영국 시편가 작가 테이..

만복의 근원 하나님

작사 작곡 : 토마스 켄(1637-1711) 영국 버크햄프스 풀생. 윈체스터 대학을 졸업하고 목사가 되었다. 후에 대학 교목으로 있으면서 세 찬송(아침, 저녁, 자정 찬송)을 지었는데 그 끝절이 바로 이 찬송시이다. /작곡자 미상이지만, 칼빈의 제자이며 제네바에서 활동한 프랑스인 루이 부르주와가 작곡했다고 한다. 이 찬송시는 원래 켄이 윈체스터 대학 교목으로 재직했을 때 지은 '아침 찬송', '저녁 찬송', '자정 찬송'의 매 끝부분에 붙여진 가사였다. 모든 복의 근원은 하나님이시므로, 땅의 모든 피조물이나 하늘의 천사들가지도 삼위 하나님을 찬양하자는 찬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