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송가 전곡, 해설

찬양 성부 성자 성령

헤븐드림 2022. 7. 18. 21:17

2장/ 찬양 성부 성자 성령

(Tate and Brady 작사 · T. Hastings 작곡) ;

《통일 찬송가, 1983》6장

 

이 찬송은 성결교회의《신증 복음가, 1919》245장에 처음으로 번역 채택된 송영으로서, 작사 작곡자 이름을 표기 안 해 오다가《합동 찬송가, 1949》583장에서 작곡자만 찾아내어 토머스 헤이스팅스(Thomas Hastings) 작곡의「오톤빌」'ORTONVILLE' 이라고 기록하고 작사자는 공란으로 남겨 놓았다.

 

 

 

 

 《새찬송가, 1962》,《개편 찬송가, 1967》모두 채택을 안 했으나,《통일 찬송가, 1983》6장에 채택할 때 작사자 모름(Anonymous)이라고 했는데, 언더우드 선교사 편집, 말씀사 간행의《한영 찬송가, 1990》에서 작사자를 17세기 영국  시편가 작가 테이트와 브래디(Tate and Brady) 라고 명기하였다.

 

 

 

 

가사를 찾아 보니 "어린 사슴이 물을 찾아 헤매듯" 'As pants the hart for cooling streams,' 이란 5절 찬송가의 마지막 송영절(誦詠節, 5절)이었다.

 

그 가사 전체를 번역해 본다.

 

As pants the hart for cooling streams,  목 마른 사슴 달려 가

When heated in the chase,                 물을 찾음 같이

So longs my soul, O God, for Thee       갈급한 내 심령은

And Thy refreshing grace.                  주를 찾아 가네(×2) 

 

For Thee, my God, the living God,        살아 계신 주 하나님

My thirsty soul doth pine;                  갈급한 내 심령

O, when shall I behold Thy face,          거룩하신 주의 얼굴

Thou majesty divine?                         언제 뵈오리까(×2)

 

God of my strength, how long shall I      내 힘과 방패 되신 주

Like one forgotten mourn,                   날 구해 주소서                

Forlorn, forsaken and exposed             저 마귀 앞제 밑에서 

To my oppressor’s scorn?                   날 구해 주소서(×2)

 

Why restless, why cast down, my soul?   내 영혼아 어찌하여 

Hope still; and thou shalt sing                축 느러졌느냐

The praise of Him Who is thy God,         생명의 샘 주 하나님

Thy health’s eternal spring.                  늘 찬양하여라(×2)

 

To Father, Son, and Holy Ghost,          찬양 성부 성자 성령

The God Whom we adore,                   성삼위일체께         

Be glory as it was, is now,                 영세무궁하기까지   

And shall be evermore.                      영광을 돌리세(×2).   

 

 

테이트-브래디 콤비는 1696년에《새번역 시편가, 1696》'New Version of the Psalms' 를 편집한 사람이다. 그들에 대해 알아보자.

 

 

♬. 테이트와 브래디의《새번역 시편가》

 

영국의 계관시인(桂冠詩人)이며 극작가인 나훔 테이트(Nahum Tate, 1652~1715)와, 아일랜드의 성공회 목사이며 시인인 니콜라스 브래디(Nicholas Brady, 1659~1726)는, 1696년 시편을 운문으로 번역하여《새번역 시편가》'New Version of the Psalms' 를 출판하였다. 1696년 12월 3일에 총회서 영국 왕 윌리엄 3세의 정식 인준을 받아, 많은 지역에서 스턴홀드와 홉킨스의「구역」'Old Version' 대신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 책은「구역」과 별다른 게 없음에도 불구하고, 윌리엄 3세의 공인을 받은 런던 출판사가 독점하여 판매하는 바람에 유명해졌고, 1598년에 수정판이 나왔다. 이 새번역은 계속 수정 ․ 증보되면서 판을 거듭했는데, 여러 출판사들이 앞을 다투어 출판하였다.

 

수정 ․ 증보된 제6판의 일러두기를 보면 이 책의 내용을 대충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 고유소절의 시편, 일반 찬송가, 사도신경, 주기도문, 십계명, 성례를 위한 찬송, 기타 등등. 글로리아 파트리가 있는 곡조들(남성과 여성)은 후에 나오는 모든 시편에 맞춘 남녀 혼성 곡조요, 수정 . 증보 제6판은 시편창을 바르게 하려는 사람들에게 좋은 지침이다. 30편의 새 곡조는 유명한 작곡가들의 작곡이요, 시편의 목록들은 교회력에 맞게 되어 있다. 구역과 새번역, 그리고 패트릭의 번역의 목록은 각 시편의 곡조를 찾는데 도움이 된다. 시편 전체를 완전히 시편가로 만든 이 책은 교사들에게도, 배우는 이에게도 그리고 프랑스 시편을 쓰던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작곡자 토머스 헤이스팅스

 

  곡조「오톤빌」'ORTONVILLE' 은 영국의 토머스 헤이스팅스(Thomas Hastings, 1784~1872) 목사가 1837년에 27장「빛나고 높은 보좌와」곡조로 작곡한 것이다.

 

그렇다면 다른 찬송가를 위해 작곡한 곡조를 딴 가사를 붙이는 것은 표절 아닌가? 이런 질문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찬송가 역사를 보면 이런 건 아무 상관 없다. 

"곡조는 옷이요, 가사는 몸이다." 고로 내가 작사한 몸에 어울란다고 생각하면 그 곡조란 옷을 입혀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통일 한영 찬송가, 1990》6장

 

곡조「오톤빌」'ORTONVILLE' 은 미국의 토머스 헤이스팅스(Thomas Hastings, 1784-1872)가 작곡하여「맨하탄 찬송모음」'The Manhattan Collection, 1837' 에 처음으로 발표하면서 미네소타주의 오톤빌 시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의사의 아들로 태어난 헤이스팅스는 시골에서 자라났다 겨울에도 6마일 (9.6km)을 걸어서 학교를 다녔다. 어려서부터 교사로서의 자질을 발휘하였다. 1823년, 헤이스팅스는 뉴욕에서 발행되는「레코더」'Recorder‘ 란 잡지의 편집인이 되었다. 1832년부터 죽기까지 40년 동안 그는 찬양음악 작곡과 출판에 전념하였다. 그가 작곡한 곡조는 1,000 곡이 넘고, 작사한 찬송도 600편에 이른다. 그의 아들은 후에 유니온신학교의 교장이 되었는데, 아버지에 대해서 이렇게 회고하고 있다.

 

― 아버지는 경건한 열성적인 크리스천이셨습니다. 또한 평생 공부하며 쉬지 않고 일하셨습니다. 돌아가시기 사흘 전까지도 펜을 놓지 않으셨습니다.

'찬송가 전곡,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찬송가 4장 성부 성자와 성령  (0) 2022.08.03
3장/ 성부 성자와 성령  (0) 2022.07.26
만복의 근원 하나님  (0) 2022.07.05
645장 아멘  (0) 2022.06.15
644장 아멘  (0) 2022.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