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옥수수와 나 김영하 외 지음 / 문학사상사
"2012년, 이상문학상의 선택 김영하!" 이상문학상의 36번째 작품집이 새로운 옷을 입고 출간됐다. 대상은 <검은 꽃>, <오빠가 돌아왔다>등의 작품을 발표하며 특유의 도시적 감수성으로 사랑 받아온 김영하가 수상했다. 수상작은 <옥수수와 나>. 소설을 쓸 수 없는 소설가가 불륜과 의혹, 광기와 혼돈을 겪는다. 지리멸렬한 일상과 환상적 기법이 교차하며 이야기가 무엇인지를 묻는다. 김영하의 자선대표작 <그림자를 판 사나이>와 김영하의 문학적 자서전, 소설가 염승숙이 쓴 작가론이 함께 실렸다.
‘한 해 동안 발표된 중.단편소설을 결산한다’는 취지에 맞게, 주목할 만한 작품들도 함께 실렸다. 하성란, 김경욱 같은 역량을 인정받은 작가의 작품과 최제훈, 조현, 조해진, 김숨 같은 젊은 작가의 작품을 고루 읽어볼 수 있어 더욱 즐겁다. 상상력과 실험성, 이야기 읽기의 고전적 즐거움이 함께 담겨있다. 김영하는 소설가란 ‘글만 안 쓰면 참 좋은 직업’이라고 수상소감을 말했다. 독자란 ‘글을 읽을 수 있어 참 즐거운’ 이들이다. - 소설 MD 김효선
책 속에서 : “그게 과연 그렇게 간단할까? 너는 관념에서 출발해 거기에 사실의 살을 붙여가는 일을 하잖아. 아이디어에서 출발해 거기에 육체를 더하는. 그러니까 네가 뭐라고 떠들든 너 역시 관념을 먼저 처리해야 할 거야.” “소설은 그런 게 아냐. 매우 육체적인 거야. 심장이 움직이면 마음은 복종해. 우리는 시인이나 평론가와 다른 몸을 갖고 있어. 문학계의 해병대, 육체노동자, 정육점 주인이야.” “너의 그 확신이 나는 불길해.” 누가 철학자 아니랄까봐 냉소적이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