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바르 하게루프 그리그(노르웨이어: Edvard Hagerup Grieg, 1843년 6월 15일 ~ 1907년 9월 4일)는 노르웨이의 작곡가이자 피아노 연주자이다. 베르겐에서 출생하였으며, 극작가인 입센과 비교할 정도로 유명한 민족주의 음악가이다.
생애
그리그의 증조부는 스코틀랜드에서 노르웨이의 베르겐에 이주해 온 사람이며, 어머니는 매우 뛰어난 피아니스트였으므로 그는 최초의 음악교육을 어머니에게서 받았다. 15세 때 독일에 유학하여 라이프치히 음악원에 입학, 이그나츠 모셸레스, 카를 라이네케 등에게 음악을 배웠다. 당시 독일에 유학한 스칸디나비아 반도 출신 음악가의 거의 대부분은 그대로 독일에 머물렀기 때문에 독일의 음악가들과 어울리고 싶었으나 졸업 후 곧 스칸디나비아로 가서 요한 페테르 에밀리우스 하르트만과 닐스 가데를 알게 되었고 다음 해에는 리카르드 노르로크와도 만나 민족주의적인 음악사상을 품게 되었다. 1867년 4촌 누이인 가수 니나 하게루프와 결혼하여 귀국, 노르로크와 협력하여 1869년 오슬로에 음악협회를 설립, 1880년까지 그 지휘를 맡아 보았으며, 한편으로 민족색이 풍부한 명곡을 차례로 내놓았다. 1880년 이후에는 고향인 베르겐으로 물러나와 작곡에 전념하였고 그의 간단한 작업장이 지금도 국립박물관에 그대로 남아 있는데, 이 곳은 피오르라고 하는 빙하로 생긴 골짜기가 강입구로 된 해안선 근처까지 뻗어나온 것이 내려다보이는 곳으로서, 숲 사이의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다. 그리그는 작곡가로서뿐만 아니라 피아니스트로서 또 지휘자로서 몇 차례나 외국에 갔으나 본거지는 늘 조국이었다. 만년의 약 10년간은 학생 때 앓은 폐병이 재발하여 어두운 나날을 보내야 했고 64세 때까지 살다 출생지에서 사망했다. 유골은 작업장 아래에 있는 피오르의 벽면 우묵하게 들어간 곳에 안치되었다.
작품 세계
그리그는 동년배인 표트르 차이콥스키, 안토닌 드보르자크와 같은 선이 굵은 작곡가는 아니나 섬세한 서정시인적인 음악가였다. 그 때문에 오페라를 결국 한 곡도 완성하지 못하였고, 유일한 교향곡인 교향곡 다단조도 자신이 연주금지곡으로 붙였고 거의 잘 알려지지 않았다. 교향곡 이외의 소나타 형식을 사용한 대작에서도 쉽게 성공했다고는 하기 힘들다. 구성력이나 주제의 논리적인 발전에 약한 면이 있었다. 오직 하나의 예외로는 피아노 협주곡 A단조(1868)으로, 이는 25세경의 젊었을 때의 것이다. 그리그의 특징은 첫째로 생애의 거의 대부분 시기에 걸쳐 계속해서 작품을 쓰고 있었으므로 가곡을 보면 그의 예술의 발자취를 잘 알 수가 있다. 가곡 다음으로는 피아노의 소곡이 중요하며 10권 66곡으로 된 <서정소곡집> 등 그 수도 가곡만큼 많다. 관현악곡 분야에서도 성공한 것은 피아노의 <서정소곡집> 가운데에서 4곡 정도는 자기가 골라내 오케스트레이션한 <서정모음곡>(1891)이라든가 입센의 극에 곡을 붙인 <페르 귄트 모음곡>(1874-1875) 등 소곡의 모음이다. 그의 실내악곡 중에서는 비교적 연주기회가 많은 제3바이올린 소나타(1878)도 실질적으로는 노르웨이의 노래와 춤의 접속곡 같은 데가 있다.
주요 작품
관현악
- 교향곡 다단조 EG119(1864)
- 가을에 Op.11(1865)
-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 Op.16(1868)
- 부수음악 페르귄트 Op.23(1875)
- 홀베르크 모음곡 Op.40(1884~5)
- 페르귄트 모음곡 1번 Op.46(1875~6)
- 페르귄트 모음곡 2번 Op.55(1875,91)
- 교향 춤곡 Op.64(1898)
실내악
- 바이올린 소나타 1번 바장조 Op.8(1866)
- 바이올린 소나타 2번 사장조 Op.13(1867)
- 현악 4중주 사단조 Op.27(1877~8)
- 첼로 소나타 가단조 Op.36(1883)
- 바이올린 소나타 3번 다단조 Op.45(1886~7)
피아노
- 3개의 피아노 소품 EG105(1860)
- 4개의 피아노 소품 Op.1(1861)
- 유머레스크 Op.6(1865)
- 피아노 소나타 마단조 Op.7(1865,7)
- 노드라크를 기억하는 장송행진곡 가단조 EG107(1866)
- 서정 소품 제1권 Op.12(1866~7)
- 25개의 노르웨이 민요와 춤곡 Op.17(1869)
- 노르웨이 민요에 의한 변주곡 형식의 발라드 Op.24(1875~6)
- 노르웨이 춤곡 Op.35(1881)
- 서정 소품 제2권 Op.38(1883)
- 서정 소품 제3권 Op.43(1886)
- 서정 소품 제4권 Op.47(1885~8)
- 서정 소품 제5권 Op.54(1891)
- 서정 소품 제6권 Op.57(1893)
- 서정 소품 제7권 Op.62(1895)
- 서정 소품 제8권 Op.65(1896)
- 19개의 노르웨이 민요 Op.66(1896)
- 서정 소품 제9권 Op.68(1898)
- 서정 소품 제10권 Op.71(1901)
- 노르웨이 농민 춤곡 Op.72(1902~3)
합창
- 올레 불에게 EG176(1901)
- 오래된 노르웨이 교회 선율에 의한 4개의 시편 Op.74(1906)
가곡
- 사랑의 선율 Op.5(1864)
- 6개의 노래 Op.25(1876)
- 아이들의 노래 Op.61(1894)
- 6개의 노래 EG177(1895)
- 연가곡 산의 요정 Op.67(1898)
'성가 클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토르 베를리오즈(Hector Berlioz, 1803년 12월 11일 ~ 1869년 3월 8일) (0) | 2021.08.19 |
---|---|
가브리엘 포레 (0) | 2021.08.15 |
니콜라이 안드레예비치 림스키코르사코프/1844년 3월 18일 ~ 1908년 6월 21일 (0) | 2021.08.07 |
안토닌 레오폴트 드보르작(체코어: Antonín Leopold Dvořák, 1841년 9월 8일 ~ 1904년 5월 1일) (0) | 2021.08.03 |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년 5월 7일 ~ 1893년 11월 6일) (0) | 2021.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