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라책읽기

소망 없는 불행/피터 한트케

헤븐드림 2023. 4. 14. 02:16

 

 

2019년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어머니의 자살을 겪은 후 써 내려간, 견고한 슬픔의 미학”

베케트 이후 가장 전위적인 작가 페터 한트케
서정적인 필치로 풀어낸 견고한 슬픔의 미학

▶한트케는 언어의 심장부를 찾아 때로는 고통 속에서, 때로는 행복 속에서 자유를 느끼며 전 유럽을 헤매 다녔다. 끊임없이 우리를 자극하면서도 살아 있게 하는 그의 작품에 빠져드는 순간, 우리는 자유로워지리라.―《르 몽드》
▶한트케의 『소망 없는 불행』 이후 어머니에 대한 어떤 평가도, 어떤 문학적 사고도 완결된 이미지를 전달해 주지 못했다. 이 책은 아물지 않은 끔찍한 상처에 대한 이야기이며 우리는 그와 더불어 비로소 자유롭게 숨 쉴 수 있다.―헬무트 쉐퍼

 

출판사 서평

 

베케트 이후 가장 전위적인 작가 페터 한트케
서정적인 필치로 풀어낸 견고한 슬픔의 미학
“독서를 함으로써 그녀는 처음으로 자신을 감싼 껍데기로부터 벗어났고
자기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을 배웠다.”
「소망 없는 불행」은 한트케가 어머니의 자살을 겪은 후 쓴 산문이다. 어머니의 일생을 회상
하면서 전후 사회 모순과 정치 상황 및 생활고를 조명하는 동시에 가정에서, 사회에서 억압
당하는 여성이 자의식을 획득해 가는 과정을 그렸다. 「아이 이야기」는 한트케가 연극 배우였
던 첫 번째 부인과 결별한 후 딸 아미나를 맡아 기른 경험을 토대로 쓰였다. 그는 파리와 독
일 여러 도시로 거주지를 옮겨 가며 남자로서 아이를 키우며 겪은 이야기들을 매우 담담하
게 기록했다. 「소망 없는 불행」과 「아이 이야기」는 약 십 년의 시차를 두고 쓰인 작품이지만,
한트케 문학의 주제 의식과 관련해 볼 때 가장 전형적인 작품이며 작가적 발전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출간될 때마다 거센 찬반양론을 불러일으킨 실험적 글쓰기를 극복하고 전통
서술 방식을 차용해 문학의 서정성을 회복했다는 평가를 받은 작품들이기 때문이다. 「소망
없는 불행」에서는 두 눈에 절망을 꾹꾹 눌러 넣은 듯한 단단한 질감의 슬픔이, 「아이 이야기
」에서는 여러 인간관계에서 폐쇄적이던 작가가 아이를 통해 세계와 화해해 가는 과정이, 읽
는 이로 하여금 직접 체감하는 듯한 놀라운 경험을 선사한다.
▶ 끊임없이 우리를 자극하며 살아 있게 하는 한트케의 작품에 빠져드는 순간, 우리는 자유
로워지리라. ─ 《르 몽드》
▶ 수많은 논란에도 한트케의 작품에는 독자로 하여금 넋을 잃고 빠져들게 하는 매우 특이
한, 시적이고 불가사의한 분위기가 일관되게 깔려 있다. ─ 《슈피겔》
▶ 독창적인 언어를 통해 인간 경험의 주변부와 특수성을 탐구한, 강력한 영향력을
지닌 작품. ─ 노벨 문학상 선정 이유
수록 작품 소망 없는 불행·아이 이야기

 

페터 한트케 Peter Handke

 작가 신간알림  소식
  • 국적오스트리아
  • 출생1942년 12월 6일
  • 학력그라츠대학 법학
  • 데뷔1965년 주어캄프 소설 '말벌들'
  • 수상2019년 노벨 문학상
    2009년 프란츠 카프카 문학상
    1983년 그릴파르처상
    1973년 쉴러상
    1973년 게오르크 뷔히너상
    1967년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상

2019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페터 한트케 (Peter Handke)가 선정되었다.

스웨덴한림원은 '언어적 독창성을 가지고 인간 경험의 주변부성와 특수성을 탐구한 영향력 있는 작업'이라며 선정이유를 밝혔다.

찾아보니, 페터 한트케는 오스트리아 작가로 1942년생이니 한국 나이로 78세, 만 76세이다.

그라츠대학 법학과를 중퇴하였으며, 희곡 '관객모독'으로 이름을 알렸다고 한다.

그 후 희곡, 시, 소설, 방송극, 영화 시나리오 등 장르를 넘나드는 왕성한 창작력을 보이며,

<소망 없는 불행>, <반복>,< 베를린의 하늘> 등의 수많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독일어권 문단의 대표작가로 자리하였고, 국제입센상, 프란츠 카프카 문학상, 게오르크 뷔히너상 등을 수상하였다.

국내에는 자전적 소설인 <반복>, 희곡 <관객모독>, <페널티킥 앞에선 골키퍼의 불안> 등 20여권의 책이 번역 출판되어 있다.

2019 노벨상(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페터 한트케의 국내 소개 작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