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홍준 (1848. ?~1893. ?) 장로 대한민국 최초의 기독교 신자, 최초의 장로교 전도사 및 장로. 최초 순교자, 호는 북산, 평북 의주 출생. 1848년 평북 의주에서 출생했으며, 1876년 중국만주에서 로쓰 목사를 만나 한국인 최초로 세례교인이 되었다. 1883년 의주교회를 개척했으며,1887년 최초의 장로가 되었다. 이단 사설을 전한다는 죄목으로 2년 간의 옥중생활로 1893년 병사하였다. 1. 세례받고 성서간행에 힘쓰다. 백홍준은 평북 의주 출생으로 1874년 이른 봄에 만주로 건너갔다가 중국 주재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선교사인 로스와 매킨타이어 두 목사를 만나게 되어 3년 동안 우장에서 그들에게 한국어와 한국역사를 가르쳤다. 그러던 그는 성령의 감화를 받아 신앙을 고백하고, 1876년 이웅찬,이성하,김진기 등과 함께 세례를 받고 한국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기독교인이 되었다. 신자가 된 백홍준은 세 동료와 함께 로스 목사의 지도를 받으면서 한문 성경을 우리말로 번역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그래서 1882년에는 최초의 누가복음과 요한복음을 심양에서 문광서원의 이름으로 발간하였다. 뒤를 이어 1883년과 1884년에는 사도행전과 마가복음, 마태복음을 간행하였다. 1885년에는 로마서.고린도전후서.갈라디아서.에베소서가 간행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1887년에는 [예수셩교젼서]라는 표제가 붙은 신약성서를 발간하였다. 이것이야말로 한국 최초의 완역된 성경으로서 흔히 [로스번역](Ross Version)이라고 불려지고 있다. 그는 1882년 간행된 누가복음과 요한복음을 가지고 서간도의 한인촌을 찾아가 전도에 종사하였다.그래 가을에 그는 다시 로스목사와 휑스터(James Webster)목사를 동반하여 서간도를 찾아가 신앙을 고백하는 한국인 75명에게 세례를 받도록 주선하였다. 2. 전도인의 사명을 띠고 성경을 국내에 반입 1883년 백홍준은 로스 목사로부터 전도인(勸書人이라고도 함) 의 직임을 받아 가지고 간행된 복음서를 등에 지고 국내에 잠입하여 동포에게 복음을 전해야 할 중대한 사명을 띠고 우장을 출발하였다. 그는 고향인 의주 압록강 대안에까지 와서 살펴보니 도저히 불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그는 밤사이에 성경을 한장씩 풀어가지고 낱장으로 하염아고, 이 종이를 말아서 노끈으로 만들었다.다음날 아침에 낡은 종이를 많이 사다가 나머지 성경을 그속에 감추고 노끈으로 묶어 마치 고지를 사오는 것처럼 꾸며가지고 국경을 넘어섰다. 3. 의주교회를 개척, 최초의 유급 교역자로 활동. 집에 들어오는 그는 [노끈 성경]을 정성껏 풀어 다시 책으로 만들었으며 이 귀중한 성경을 가지고 의주를 비롯하여 위원,강계,구성,삭주 등지 일대를 찾아다니며 전도하였다. 반년이 못되어 10여명의 신자가 그의 집에 모여 예배드리게 되었다. 이 의주교회는 정식으로 된 조직교회는 아니었지만 주의 이름으로 모인 국내 최초의 집회였으며 일종의 기도처였다. 1890년 그는 언더우드 선교사가 서울에서 개최한 최초의 신학반에서 공부하였고 그후에 서상륜,최명오 등과 함께 한국교회에서 최초의 유급 교역자로서 조사로 임명을 받았으며 평북일대의 교회 개척의 중임을 맡았다. 그가 순교한 1893년부터는 그의 사위되는 김관근조사(후에 목사가 되었음)가 위의 책임과 의주교회 시무를 인계받았다. 4. 서상륜과 더불어 최초의 장로가 되었다. 1887년 백홍준 전도사는 한국 최초의 장로가 되었다. 서울에 있던 언더우드 목사는 1887년 9월 27일 자기 사랑방에 14명의 세례교인을 모아놓고 한국 최초의 조직 교회로서 백홍준과 서상륜의 두 사람을 장 로로 세우고 새문안교회를 발족하였다. 아직 개척 단계에 있던 한국교회는 전국이 하나의 교구라고 생각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지금까지 복음전파를 위하여 뛰어난 업적을 쌓아올린 두 인물이 장로로 추대받아 장립된 것이다. 백홍준 장로는 서울에 상경할 때마다 언더우드 목사에게 압록강 하류 의주에 와서 여러 신자들에게 세례를 베풀어 달라고 간청하였다. 드디어 언더우드 목사는 1889년 결혼을 구실로 하여 의주까지의 신혼 여행의 허락을 정부로부터 받았다. 의주로 온 언더우드 목사는 세례받기를 희망하는 100여명 신자가 있는것을 보고 너무나 감격하였다. 언더우드 목사는 세례문답을 거친 후 33명을 선발하여 배에 태우고 압록강 한가운데로 나아가 압록강 물을 떠서 세례식을 거행하였다. 한국인 프로테스탄트로서 최초의 순교자가 되다. 백홍준 전도사는 한국인 최초 7명 목사 중의 한 사람인 한석진에게도 전도하여 1891년 마펫선교사가 의주에 들렸을 때 김정호,김석례 등과 함께 세례를 받오록 인도하였다. 백홍준 장로는 그동안 여러차례에 걸쳐 중국 심양을 왕래하여 로스 목사와 연략을 취하였다. 1890년에는 로스 목사가 의주로 나와서 그의 집에 한달 이상을 유하면서 신도들의 신앙 지도에 힘쓰고 예배를 인도하였다. 다음해에는 마펫 선교사와 게일 선교사가 전국순회여행을 하면서 의주에 들러 백홍준의 안내로 의주와 강계일대에서 전도하고 돌아갔다. 다음해에는 마펫 선교사와 게일 선교사가 전국순회여행을 하면서 의주에 들러 백홍준의 안내로 의주와 강계 일대에서 전도하고 돌아갔다. 이처럼 백홍준 장로를 길잡이로 하여 여러 양인들이 오고 가는 것을 보면서 관가에서는 백홍준에 대하여 감정이 좋지 않았고 적개심을 품고 주목을 하였다. 1892년 그는 드디어 평안감사 민병석의 지시로 의주에서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백홍준 장로는 목에 칼(형구의 일종)을 쓰고 2년동안 갖은 고초를 다 겪다가 몸이 쇄약해져 1893년 옥중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는 한국인 프로테스탄트로서의 최초의 순교자가 되었다. 이응찬은 로스와 매킨타이어에게 한글을 가르쳤고, 6년 가까이 <예수셩교젼서>의 번역에 매달려 절반 이상 번역과 수정을 한 후인 1883년 9월 콜레라로 소천하였다. 예전에 술과 아편을 즐기던 그가 성경 번역을 몰입하여, 그 복음을 동족에게 전해주려고 애쓰다가 이국 땅인 만주 봉천에서 순교하였다. 1876년 봄,로스는 한글을 가르쳐 줄 수 있는 사람을 발견하였는데 그 이름은 이응찬이었다. 로스는 한글선생을 고용하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불확실한 것인가를 알았기 때문에 돈을 아끼지 않았다. 로스는 1877년 이응찬과 함께 미래의 선교사들을 위한 기초 한글교재(Corean Primer)를 간행하였고,1878년 봄에는 요한복음과 마가복음을 번역하였다. 이 당시 서양인을 돕는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었다. 이응찬이 로스를 도와서 성경을 번역하고 있다는 것을 안 어떤 한국 사람이 이응찬을 고발하겠다고 위협하였다. 그래서 그는 다시 의주로 돌아왔다. 그러나 얼마 후인 1879년 봄,이응찬은 다시 만주로 왔다. 당시 로스는 안식년으로 본국에 귀국하였다. 그가 하던 번역사업은 매킨타이어에 의해서 계속되었다. 매킨타이어는 이응찬을 한글교사로 삼고,성경을 계속 번역하도록 했다. 이때 번역한 것이 로마서와 히브리서였다. 이응찬은 매킨타이어로부터 세례를 받기를 원했다. 하지만 그의 신앙이 분명하지 않았다. 그는 아편쟁이로 의심받았고,식사 때에는 중국 화주(火酒)를 곁들이는 습관이 있어서 그가 출석하던 중국교회신자들은 그의 신앙을 의심하였다. 이응찬의 세례는 자꾸 연기되었다. 그러는 사이에 이응찬은 짬을 내어서 고향을 방문하였고,매킨타이어는 그가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응찬은 고향에 가서 성경을 깊이 연구한 다음에 전혀 다른 사람이 되어서 돌아왔다. 그래서 그는 1879년 여름 매킨타이어로부터 세례를 받았다. 이것은 한국 개신교인으로서는 세 번째 세례였다. 1881년 로스는 안식년을 끝내고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 이응찬은 로스와 더불어서 성경번역 작업에 박차를 가했다. 그 후 긴 세월을 통해서 로스와 이응찬은 성경을 한글로 번역했고,1887년 최초의 한글번역성서인 ‘예수셩교젼서’가 완간되었다. 이응찬은 이 최초 한글성서의 반절 이상을 번역하였다. 하지만 그는 이 성경번역의 완성을 보지 못하고,1883년 9월 이국 땅 봉천에서 콜레라에 걸려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하지만 그가 번역한 성경은 풍성한 열매를 맺었다.
|
'신앙역사 간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매일기쁘게] 하나님의 감동적인 인도하심 - 박수영, 박숙희 선교사 간증 (0) | 2017.08.01 |
---|---|
[미션2014 주여 나를 보내소서] 파키스탄 피랍 김형민 목사 (0) | 2017.07.25 |
미스코리아 박샤론의 아름다운 간증 '상처는 별이 된다' @ 힐링유 (0) | 2017.06.22 |
천상의 목소리 레나 마리아 (0) | 2017.06.16 |
사랑하기 때문에 (박누가 의사의 필리핀 선교이야기) @ CGNTV 개국 12주년 특집 다큐멘터리 (0) | 2017.06.13 |